로보월드
보도자료
미디어보도자료
미디어
전시회 안내 참가업체 참관객 미디어
보도자료
공지사항 뉴스레터 보도자료 갤러리 홍보영상 SNS
로보월드
[파이낸셜뉴스] 휴머노이드 본격화...제조현장 AX 로봇 시대 성큼 [2025 로보월드]
  • 등록일2025.11.17
  • 조회수21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올해 제조 인공지능 전환(AX) 얼라이언스를 출범한 가운데 내년 휴머노이드 분야 얼라이언스가 본격 확대된다. 실제 제조현장에서 휴머노이드 활용이 크게 넓어질 전망이다.

5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로봇 행사인 '2025 로보월드'가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했다. 산업통상부 신용민 제조산업정책관 직무대행은 "올해 휴머노이드 얼라이언스를 시작한 데 이어 내년에는 실제 기업 제조 현장에서 휴머노이드 활용을 넓히고 AI 연구소를 통한 AI모델 연구도 강화한다"고 말했다. 산업통상부 내 제조AI확산 TF를 통해 현장 중심 휴머노이드 확산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8·9면
실제 정부는 오는 2029년 휴머노이드 양산에 돌입해 연간 1000대 이상의 휴머노이드를 양산한다는 목표다. 여기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두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이로봇 등이 참여한다.

이날 '2025 로보월드'도 올해 20회를 맞아 해외 50개 기업을 포함한 324개 기업이 총 면적 3만2157㎡에 1025개 부스를 마련해 다양한 로봇들을 선보였다. 제조업용이나 서비스용 로봇을 비롯해 헬스케어로봇, 자율주행 물류 로봇, 국방로봇, 바이오 생산로봇, 로봇부품·소프트웨어(SW) 등 산업과 일상 전반의 로봇 제품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올해 가장 주목받는 제품은 단연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웨어러블 로봇과 제조 협동로봇 등이 전시됐다. 행사 기간 열린 국제로봇비즈니스컨퍼런스와 국제로봇심포지엄에서도 휴머노이드 로봇을 비롯한 인공지능(AI) 로봇의 자동화와 보안을 주제로 한 혁신 사례들이 공유됐다.

또 ‘국방 분야 상용로봇 특별관’이 마련돼 17개 로봇기업 30부스 규모의 상용 기술이 전시됐다. 최근 국방 현장에서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로봇 기반 자동화에 대응하는 기술이 공유됐다.

이날 '2025 로보월드 개막식 및 기계·로봇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식'도 열렸다. 개막식에는 타카유키 이토 국제로봇연맹(IFR) 회장과 신용민 산업통상부 제조산업정책관 직무대행 등이 참석해 로봇기업들을 격려하고 우수 로봇 전시 부스를 살펴봤다.

타카유키 이토 IFR 회장은 "휴머노이드와 모바일 로봇 등 매년 로봇산업 기술은 스마트해지고 있다"며 "로봇 기술은 더이상 꿈이 아니다. 미래에도 산업·생활 발전에 더 새로운 영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산업통상부가 주최하고 파이낸셜뉴스와 한국AI·로봇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2025 기계·로봇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식'에서는 국내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산학연 관계자 29명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정흥상 푸른기술 부사장은 국내외 처음으로 기술 중심의 협동·의료 로봇을 개발해 사업화한 성과를 인정받아 산업포장을 받았다. 대통령 표창은 지능형 로봇 산업에 기여한 손웅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고문과 김종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에서 돌아갔으며, 김민교 빅웨이브로보틱스 대표이사는 파이낸셜뉴스 회장상을 수상했다. 특별취재팀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입니다. 아래의 다른 브라우저를 다운받아 사용해주세요.